마음의 다면성

불교 7

[논문리뷰]윤희조_불교적 관점에서 본 융 심리학 (1) [콤플렉스]

본 논문의 저자(이하. 윤희조)는 융 심리학을 세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고 이를 불교 교리에 의거하여 해석하려 한다. 먼저는 콤플렉스를 유위법 또는 번뇌로 등치시키고 둘째, 집단 무의식을 윤회적 함축을 갖는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개성화(Individuation)를 불교 견도에서의 깨달음의 과정으로 본다.콤플렉스란 정동의 복합체로(2023. 359), 의식과 무의식을 아우르는 인간 마음의 존재하는 정신적 내용 혹은 군집으로 말해진다. 즉, 콤플렉스는 하나의 핵 요소(Kernelement)를 중심으로 여러 심리적 내용이 모여져 있어 이 콤플렉스 핵은 강한 감정을 지니고 있는데 이 강한 감정은 집단 무의식의 내용인 원형(archetypus)와 관계하는 것으로 융은 보았다.(2005. 19-20) 그렇기에, 윤..

불교상담학 2025.03.09

몸의 현상학과 불교 (5)

불교의 오온五蘊은 인간을 구성하는 다섯 가지로, 그중 첫 번째 요소인 색色은 물질적 몸을 말한다. 색은 네 가지 기본 원소인 지수화풍으로 설명된다. 이 원소들은 서로 간의 작용을 하여 하나의 통일된 물질적 현상인 신체를 구성한다. 그러나 색은 고정된 실체가 아니다. 인간의 몸은 딱딱한 것과 흐르는 것, 뜨거운 것과 움직이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색은 고유의 색깔과 모양을 가진 것 이상으로 불교에선 규정하는데 살아 있는 몸만이 운동성과 항상성을 가지고 있는 모습을 말하며 살아 있는 유기체로서의 몸을 말한다.(2022. 52-3) 이런 유기체적 특징은 메를로-퐁티의 살아 있는 몸(le corps vivant)에서도 볼 수 있다. 메를로-퐁티의 자연관은 형태와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이 된다. 세계와 주체 간의..

불교상담학 2025.02.28

몸의 현상학과 불교 (4)

불교에선 인간의 몸을 하나의 고정된 주체나 실체로 보지 않는다. 「일체 경(Sabba-sutta)」에서의 붓다는 일체를 여섯 감각기관과 여섯 감각대상으로 설명한다.(SN35:23) 즉, 여섯 감각기관은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라는 육내입처(六內入處)를 가리키고, 여섯 감각대상은 육외입처(六外入處),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을 가리킨다. 우리가 경험 가능한 모든 세계는 이 여섯 문을 통해 파악되기에 이것에서 벗어나서 따로 무언가를 더 주장하려 해도 근거가 되지 못한다. 또한 『불설일체유섭수인경』에서도 보이듯, 올바른 근본을 갖추지 못한 채 그릇된 생각을 하면 오히려 몸에 대한 의심과 번뇌가 생겨 “이 몸은 장차 존재하는가, 존재하지 않는가?”와 같은 망상이 생긴다고 한다.(K0672 v19, p.520..

불교상담학 2025.02.18

몸의 현상학과 불교 (3)

현상학적 장(field; champ)은 단순히 언급하기 쉬운 어느 한 공간이나 물리적 장소를 말하지 않는다. 현상학적 체험이 이루어져 상호주관적으로 구성된 의미가 발생하는 층위다.(PHP. 51) 다시 말하면, 주체의 의식과 의식의 대상인 세계가 어떻게 얼기설기 얽혀있어 경험으로 나타나는가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메를로-퐁티의 몸의 현상학으로 가서는 현상학적 신체는 항상 세계 내에 있으면서 세계를 향해 정향 되어있어 의미를 창출하는 데 이때의 현상학적 신체가 지각의 장을 가져 현상학적 장이 열리게 된다. 즉, 현상학에서 말하는 지평地平은 대상이 현전할 때의 맥락 또는 그것의 배경이 된다. 예를 들어, 산 정상에서 내려다 볼 때 우리가 바라보는 풍경은 지금-여기(Here and Now)라는 시공간, 나의 과..

불교상담학 2025.02.16

몸의 현상학과 불교 (2)

“살아 있는 관계”란 무엇일까? 우리가 살아 있다고 할 때 그것은 호흡하며 눈으로 살피고, 귀로 들어 느낌을 받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는데 이것은 자아의식의 시작이다. 즉, 살아 있다고 감각하는 것은 항상 바깥 세계와 지평이 맞닿아 있을 때 시작한다. 이때의 현상학적 체험은 지금-여기에서부터 시작한다. 다시 말해, 바깥 세계와 지평-구조를 갖는다는 것은 코로 호흡할 때, 코라는 대상과 공기라는 대상과 항상 함께하고 있고, 눈으로 살핀다는 것은 내가 지금-여기에서 보이는 풍경(paysage)이 시선(regard)에 의해 미끄러져 나타난다는 것을 말하며, 귀로 들음은 바람소리, 노랫소리, 나의 호흡소리라는 모든 대상과 엮여있을 수밖에 없는 나의 의식의 지향성을 규명할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je vois dir..

불교상담학 2025.02.09

몸의 현상학과 불교 (1)

Il faut que je sois mon extérieur, et que le corps d'autrui soit lui-même.타자가 신체 자체이듯이 나도 나만의 외부, 신체가 있어야 한다.필자 역, M. Merleau-ponty, Phénoménologie de la perception, Éditions Gallimard, 1945. vii.어떤 물음이었을까. 현상학 이전의 서구 철학은 주객분리, 이원론적 접근에 따라 사유하는 나와 사유되는 그것(연장)들의 인식의 일치가 진리로 여겨졌다. 고중세철학은 객체에 의해 정의되는 주체 그리고 데카르트 이후의 주체중심주의에서는 사유하는 주체에 의해 진리가 탐구된 것이다. 그러나 후설 이후로 서구 철학의 관점은 의식의 지향성을 주제로 주체와 객체의 분리적 사..

불교상담학 2025.02.05

불교상담학이란?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고통과 스트레스는 날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로 다양한 상담기법이 발전해왔다. 그중에서도 불교상담은 불교의 가르침을 심리 상담에 접목하여 고통의 근원을 이해하고 치유하려는 새로운 시도다. 불교상담은 불교의 철학과 교의를 바탕으로 무아(無我), 연기(緣起), 공(空)에 기반하여 상담의 중요한 치료적 기제로 사용한다. 불교의 목적은 자기와 타자로 말해지는 모든 중생을 고통에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깨달음으로 부처가 되는 것이고 무아와 연기, 공은 참된 이치이자 진리로 말해진다. 이런 교의를 바탕으로 내담자는 자기 객관화하여 알아보아 고통에 대한 이해를 얻는다. 현재 한국에서의 불교상담은 이제 시작되어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다.(2019. 1) 현재는 초기 단계로 불교의 이론과 상담..

불교상담학 2024.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