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다면성

마음의 다면성 전체보기 36

심리검사와 심리평가

심리검사 심리검사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능력, 성격과 행동 등을 평가하고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도구들, 절차를 가리킨다. 다양한 사회환경에서 요구에 따라 쓰이고 있다. 예를 들어, 다면적 인성검사(MMPI: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한국 웩슬러 지능검사(K-WAIS: Korean Weschler Adult Intelligence Scale),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등.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심리검사는 학교와 산업, 개인 상담과 임상에서도 쓰이고 있는데, 이들 모두 “객관성, 정확성, 통합성에 있어서 신뢰도가 인정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평가도구로 활용되고 있다.”(2019. 19) 이에 따라, 심리검사..

범죄심리학의 개념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의사결정을 시도 할 경우에 3가지 측면을 검토한다. 대체안이 있느냐, 보상은 어떤 것이냐, 결과로 얻는 것이 무엇이냐 하는 점들이다. 그러나 범죄자들은 충동적이고 계산적이지 못해서 이익만을 크게 생각한다(홍성열. 2002: 271-288). 그렇기 때문에 이들은 손해를 가볍게 생각하고 범죄행동을 하는 것이다. 인간은 왜 범죄를 저지르며, 어떤 인간이 범죄를 저지르는가 하는 것을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범죄를 연구하는 것이 범죄심리학이다(大村政商 2001: 186). 오윤성, 『범죄, 그 심리를 말하다』, 박영사, 2016. 19.It is useful to think of criminal activity as being part of a process rather than a partic..

다문화 상담의 이해 - Hays의 ADDRESSING 모델 (1)

ADDRESSING 모델 이해 Hays의 ADDRESSING 모델은 다문화 상담, 심리치료에서 내담자의 다양한 정체성을 이해하고 평가하기 위한 틀을 제공한다. 이 모델은 다양한 문화사회적 배경과 개인 정체성을 포괄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상담자가 내담자의 삶의 경험과 맥락을 이해해줄 수 있는 초석을 닦아준다. ADDRESSING 모델은 각 정체성 영역의 첫 글자를 따온 것이다.(2012. 16) A: AgeD: Developmental disabilitiesD: Disabilities acquired later in lifeR: ReligionE: Ethnic and racial identityS: Socioeconomic statusS: Sexual orientationI: Indigenous heritag..

태초에 무의식이 있었다.

"최초에 무의식이 있었다." 그리고 "무의식에서 자아의식이 싹텄다." (이부영,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2021. p.34.) 탄생으로부터 무의식이 생겨난다. 개인 한 사람의 인생은 자기를 실현하는 평범하고도 궁극적인 목표를 향하고 있다. 무의식에서부터 자아의식이 싹이 트기 시작한다. 자아(나; ego, ich)를 인식하고 자아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이 발달해간다. 이부영은 유아기의 의식이 원시인의 의식과 비슷하다고 하며, 원시인의 의식이 문명인의 의식으로 발전한다고 말한 점은 융이 원시인의 지능이 열등하다거나, 유아기의 심성이 유치한 단계에 있다고 말한 것이 아니다.(ibid. 37) 원시인은 현대인과 다르게 몸으로 생각을 한다. 훨씬 본능적으로 현명하다. 몸으로 생각한다는 것은 사실상,..

분석심리학 2024.05.04

지각의 심리학과 현상학

지각의 원리우리 인간은 감각기관들을 자극하는 감각들에 의해 둘러 쌓여 있다. 선풍기 바람소리, 시원하다고 느끼는 촉각, 조명 불빛, 노래 소리, 커피의 맛. 우리의 민감성은 물체가 감각들을 계속 자극할 때 감소 하는데, 바로 감각 순응(sensory adaptation)이라고 하는 과정이다. 이 감각 순응에 의해 우리가 자극 그 자체보다 자극에서의 변화를 알아 차릴 수 있다.(2011. 126-7) 다시 말해, 물체가 감각 기관을 지속적으로 자극하면 민감도는 점차 줄어드는 과정을 뜻한다. 이런 감각은 곧 지각으로 가는데, 사실상 감각과 지각은 분리되어져 있는 과정이 아니다. 그러나 감각으로 인해 지각이라는 세계를 향해 지향하는 우리 몸을 발견할 수 있다. mais sur le préjugé du mond..

심리학 일반 2024.04.29

증상과 예시로 알아보는 이상심리 (2) - 우울장애와 청소년 자살 징후.

한 아이의 우울한 나날 빛이 거의 들어오지 않는 어두운 방에서 예림(가명)이는 휴대폰 화면만을 응시하며 무표정하게 누워있다. 예림이의 방은 이제 막 고등학교에 입학한 10대 청소년의 방답지 않게 조용하고 쓸쓸하다. 최근 몇 주 동안 예림이는 친구들과의 연락을 피하고, 학교 생활에도 흥미를 잃었다. 식욕은 점점 줄어들고, 밤마다 잠들기 어려워 피곤함이 누적되어 간다. 어느 날, 엄마는 방문을 두드리며 걱정스럽게 말한다. “예림아, 요즘 너무 조용한데 괜찮니? 학교는 어때?” 예림이는 무심코 대답한다. “괜찮아요, 엄마. 그냥 좀 피곤해요.” 그러나 예림이의 목소리는 힘이 없고, 눈빛도 희미하다. 주요 우울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주요 우울장애는 우울 증상이 거의 매일, 하루종일..

무의식과 그림자 - 칼 융, 분석심리학 이해하기 (2)

무의식무의식(the unconscious, das UnbewuBte)이란 무엇인가. 글자 그대로 ‘의식되지 않은 것’이다. 우리가 가지고 있고 시시각각 의식 생활에 영향을 주고 있으면서도 모르고 있는 마음의 세계는 모두 무의식이다. (이부영,『그림자』, 한길사, 2023. 37.) 무의식에 관한 언급은 프로이트 이전부터 있었으나 프로이트로부터 과학의 대상이 되어 탐구의 대상이 된 것은 노이로제(신경증)환자를 치료해가는 와중에 발견해낸 것이다. 즉, 히스테리 환자의 팔다리에 ‘아무런 이유 없이’ 마비가 생기고 프로이트가 최면으로 환자의 오래된 마음의 상처와 아무 기억조차 없었던 과거의 기억을 상기시켜 말하게 하니 마비 증상이 없어져 다시 걸을 수 있게 된 것을 ‘무의식’의 내용이 되어 버린 체험군이 신체에..

분석심리학 2024.04.04

죽음의 심리학 (1)

하이데거와 죽음을 향한 존재Das Zu-Ende-seina des Daseins im Tode und somit das Ganzsein dieses Seienden wird aber nur dann phänomenal angemessen in die Erörterung des möglichen Ganzseins einbezogen werden können, wenn ein ontologisch zureichender, das heißt existenzialer Begriff des Todes gewonnen ist. Daseins mäßigb aber ist der Tod nur in einem existenziellen Sein zum Tode. 그러나 죽음 속에서의 현존재의 종착-에-있음(D..

심리학 일반 2024.03.09